
자세 교육 전

자세 교육 후
- 기본 정보
성별 / 연령: 여성, 79세
진단 :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재활
주요 증상 및 불편 사항:
– 초기 선 자세시 과도한 무릎 신전(Genu Recurvatum) 발생
– 보상 작용으로 상체 전방 이동, 무릎 과부하 증가
– 엉덩이 근육 사용 부족 → 엉덩이 빠짐 발생
– 허리 통증, 수술 부위 부종, 어깨 통증 동반 - 초기 평가 (재활 전 상태)
주관적 증상
– 서 있을 때 무릎이 과하게 펴져 불안정한 느낌이 듦
– 무릎 통증이 심하고 오래 서 있거나 걸으면 허리까지 통증이 올라옴
– 허리 및 어깨 통증 증가, 엉덩이 힘을 주는 방법을 잘 모름
객관적 평가
– 선 자세 유지시 무릎이 과도하게 펴짐(Genu Recurvatum)
– 상체 전방 이동으로 인해 무릎 과부하 증가
– 엉덩이 근육(둔근) 활성화 부족, 엉덩이 빠짐 관찰
– 무릎 주변 근육 약화 및 불균형 (신전근 과활성, 굴곡근 약화)
– 보행 시 무릎을 과도하게 펴고 체중을 실어 허리 부담 증가
일상생활에서의 영향
– 서 있거나 걸을 때 불편함이 크고 오래 활동하기 어려움
– 허리, 어깨 통증이 점점 심해짐
–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 생활 속 피로감 증가 - 재활 목표
단기 목표 (Short-term Goals)
무릎 신전근 과활성을 줄이고 무릎 굴곡근 강화
엉덩이 근육 활성화를 통해 바른 자세 유지
보행 시 무릎의 안정성을 높여 무릎 과부하 감소
장기 목표 (Long-term Goals)
정상적인 보행 패턴 회복 (무릎이 과도하게 펴지지 않도록 조절)
허리 및 어깨 통증 감소 및 생활 속 움직임 개선
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일상생활에서 독립적인 이동 가능 - 재활 과정
적용한 재활 방법
– 무릎 신전근 활성화 조절: 무릎 과신전 방지를 위한 근육 조절 훈련
– 무릎 굴곡근 강화 운동: 스쿼트 및 Eccentric 수축 운동 적용
– 엉덩이 근육 활성화 운동: 둔근 활성화 및 체간 안정성 훈련
– 자세 교정 및 보행 훈련: 상체 전방 이동을 줄이고 바른 정렬 유지
운동 및 자세 교정 프로그램
– Eccentric 스쿼트: 무릎 굴곡근(햄스트링) 강화하여 과신전 방지
– 둔근 활성화 운동: 힙 브릿지, 스탠딩 힙 익스텐션 실시
– 균형 및 체중 부하 훈련: 한발 서기, 체중 이동 연습
– 보행 훈련: 바른 정렬을 유지하며 무릎 과신전 방지하는 패턴 훈련
환자의 재활 참여도 및 변화 과정
– 처음에는 엉덩이 근육을 사용하는 방법을 몰라 적응이 어려웠음
– 4주 차부터 무릎의 과신전이 점점 줄어들고 보행 패턴이 안정됨
– 8주 차 이후 서 있을 때 상체 전방 이동이 감소하고 바른 자세 유지 가능 - 재활 결과 (재활 후 변화)
통증 및 불편감 감소 여부
– 치료 전 VAS 8/10 → 치료 후 VAS 4/10
– 보행 시 허리 통증 및 무릎 부담 감소
자세 및 가동 범위 개선 정도
– Standing 시 Genu Recurvatum 완화 (무릎 과신전 감소)
– 엉덩이 근육 활성화 증가로 바른 자세 유지 가능
– 보행 시 무릎 안정성 확보, 무릎에 과부하 줄어듦
일상생활에서의 변화
– 장시간 서 있어도 무릎과 허리의 부담이 감소함
– 보행 시 무릎이 과하게 펴지지 않고 이동 가능
– 허리 및 어깨 통증이 개선되어 생활 속 움직임이 편리해짐 - 환자 피드백
재활 만족도
– “무릎이 펴지는 느낌이 덜해지고, 걸을 때 허리가 덜 아파졌다.”
– “엉덩이에 힘을 주는 방법을 배우면서 서 있는 자세도 더 편해졌다.”
느낀 점 및 개선된 부분
– 처음에는 힘을 주는 방법을 몰라 어려웠으나 점점 익숙해짐
– 보행 시 균형이 잡히고 무릎이 안정적으로 움직여짐
추가적으로 필요한 관리 계획
– 지속적인 엉덩이 근력 운동 필요
– 보행 시 무릎 과신전을 방지하는 자세 유지 - 향후 계획 및 유지 관리
지속적인 홈 프로그램 계획
– 둔근 강화 운동 (앉은 자세에서 둔근 활성화 운동)
– 스쿼트 운동 지속 (천천히 앉았다 일어나는 Eccentric 운동)
– 바른 정렬을 유지하는 보행 연습
정기적인 재평가 필요 여부
– 3개월 후 무릎 신전 상태 및 보행 패턴 점검 예정
생활습관 개선 및 주의사항
– 장시간 서 있거나 걸을 때 무릎을 과하게 펴지 않도록 주의
– 허리 통증 예방을 위해 엉덩이 근육 활성화 유지
– 일상생활에서 균형 잡힌 체중 분배 연습